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목록처리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선형대수
- network configuration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리눅스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서버설정
- 네트워크 설정
- 페이징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iterator
- ㅒ
- 자바편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baeldung
- 데비안
- GIT
- 구멍가게코딩단
- resttemplate
- /etc/network/interfaces
- 이터레이터
- 알파회계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스프링 시큐리티
- d
- 친절한SQL튜닝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Archives
- Today
- Total
bright jazz music
파이썬 프로그래밍 220312 본문
# 변수는 사용하기 전에 먼저 선언이 필요하다
# 변수 선언은 변수에 값을 할당함으로써 이뤄진다.
# e.g. 변수이름 = 초기값
#9라는 리터럴 값 자체가 변수에 담겨 있는 것이 아니다.
# 9라는 리터럴의 ID 가 존재하고, 그 아이디 값을 참조하는 것이다.
#즉, 숫자에 대한, 또는 문자에 대한 ID 값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쉽게 변수의 값을 바꿀 수 있는 이유이다.
#9라는 객체의 id:123456 이 num_of_people에 저장되는 것이다.
#비단 숫자뿐만 아니라 그 어떤 데이터도 마찬가지이다
# id(변수) = id 값 반환
# type(변수) = 리터럴 값의 타입 반환
id(123)
2016327438384
numOfPeople = 1
print(type(numOfPeople))
print(id(numOfPeople))
print(id(1))
print(id(2))
numOfPeople = 123
print(id(numOfPeople))
def show_message(msg, name):
print(msg, name, '님')
print(show_message('안녕', '차호준'))
#매개변수는 인수를 받는 변수이다. 매개변수는 다양한 값을 사용해 보기위해서 사용한다.
#키워드 인수
# 키워드 인수의 장점은 인수의 순서를 지키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def show_message(msg='안녕하세요', name='여러분'):
print(msg, name, '님')
show_message('안녕@','차호준')
show_message()
show_message('안녕@')
show_message(name='차호준')
show_message(msg='안녕@')
#기본값을 갖는 매개변수 뒤쪽(오른쪽)에는 모두 기본값을 지정해야 함
#두개의 매개변수 중에 하나에만 기본값을 지정한다고 하면 뒷쪽에 위치하는
#매개변수에 값을 지정해 줘야 한다. 전달받는 값도, 기본값도 없기 때문에 오류난다.
print('life', 'is', 'too', 'short')
print('life', 'is', 'too', 'short', sep='.')
print('안녕', '여러분', sep='....', end='\n\n\n')
print('안녕', '여러분')
print('안녕', '여러분', sep=',')
print('안녕', '여러분', sep=' ', end='! ')
print('hel\nlo')
#반환값을 갖는 함수
# 호출된 함수는 반드시 호출측으로 복귀해야 함.
# return 반환값 을 써주면 됨.
# 복귀를 강제할 수 있는 문장이고,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필요 시 하나의 반환값을 지정할 수 있음.
#반환값이 호출측에 전달되면 반드시 이용하라. 사용하지 않을 거면 반환하지 말 것.
# input()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 하나의 '문자열'을 입력받아 반환
# 한 번에 하나의 문자열만 입력 가능
# 엔터키를 누르기 전 까지는 입력값 수정 가증
print('당신의 이름은?', end=' ')
name= input()
print('반가워요', name)
#프롬프트 메시지
#대부분의 입력문에서 사용자에게 무엇을 입력해야 할지 알리기 위해 표시되는 문자열
#입력 처리 전에 프롬프트 메시지 출력이 선행됨
#방법 print()문으로 별도로 출력
#input() 문의 인수로 !!!!하나의 문자열!!!! 지정
#반환값도 @@하나의 문자열@@ 반환
name= input('당신의 이름은?')
print('반가워요', name)
#함수의 네 유형
#유형1: 매개변수와 반환값을 갖지 않는 함수
# - 호출 시마다 똑같은 일만 수행하는 한계 존재
# - 간단해 보이나 책임 분할이 안 된 구성
# 모든 걸 미뤄버리고 함수 썼다~~~
#유형2: 매개변수만 갖는 함수
#호출 측에서 매개변수를 넘김.
# 호출된 함수에서 메시지를 출력까지 해버린다면
# 호출측에서는 함수에서 작업한 결과를 이용할 수 없음.(반환값이 없으므로)
#유형3: 반환값만 갖는 함수
#반환값만 갖는 함수
# - 호출측에서 그 결과를 다양하게 이용 가능(인풋도 호출된 함수에서 받는다면)
#유형4 매개변수와 반환값을 모두 갖는 함수
# - 호출 시 다양한 데이터를 매개변수로 전달 받음
# - 수행을 마치고 그 결과를 호출측으로 반환 (재사용성이 높은 일반화된 함수로 구성)
#사용자 정의 함수부
def make_message(name):
msg = '반가워요' + name
return msg
#주 프로그램부
print('시작')
input_name = input('당신의 이름은?')
result = make_message(input_name)
print(result)
print('마침')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열 (0) | 2022.04.04 |
---|---|
220326 전역변수와 지역변수 & 모듈 구성 및 사용(주사위) (0) | 2022.03.26 |
220319 파이썬 과제(연산자 사용, int(), float()사용 ) (0) | 2022.03.20 |
220319 파이썬 연산자 (0) | 2022.03.19 |
파이썬 프로그래밍 220301 (0) | 2022.03.0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