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페이징
- 목록처리
- 스프링 시큐리티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서버설정
- 자바편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데비안
- iterator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ㅒ
- network configuration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GIT
- 친절한SQL튜닝
- 네트워크 설정
- /etc/network/interfaces
- resttemplate
- d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이터레이터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알파회계
- 구멍가게코딩단
- baeldung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리눅스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선형대수
- Today
- Total
목록d (2)
bright jazz music
현재상황:auth관련 디렉토리를 만들고 dto, controller, service 파일을 생성했다. 현재는 dto 만 작성 완료한 상태이다. 서비스와 컨트롤러의 로직은 아직 작성하지 않았다. 난 그것들의 로직을 작성하기 전에 먼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고 테이블을 생성하고 싶었다. ORM으로는 typeorm을 사용해 보려고 했다. 본문 요약: DB 연결을 위한 설정postgreSQL과의 연결을 위한 TypeORM 패키지 설치디비 설정을 환경변수 파일(.env.local)에 적어주고 깃 이그노어 하기(이건 프로젝트 생성 시 기본적으로 돼 있을 것이다)설정을 위한 모듈 패키지(config) 설치하고 /src/에 config 디렉토리 생성/src/config디렉토리에 DB연결을 위한 설정파일(datab..
라즈베리파이에 ssh로 접근하는 과정은 생략도커 컨테이너를 사용할까 했지만 우선은 네이티브로 설치한다. 1.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coffee@coffee-rasp:~$ sudo su[sudo] password for coffee: root@coffee-rasp:/home/coffee# apt updateHit:1 http://ports.ubuntu.com/ubuntu-ports noble InReleaseGet:2 http://ports.ubuntu.com/ubuntu-ports noble-updates InRelease [126 kB]Hit:3 http://ports.ubuntu.com/ubuntu-ports noble-backports InReleaseHit:4 http://ports.ubun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