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목록처리
- 자바편
- 이터레이터
- 네트워크 설정
- ㅒ
- 페이징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친절한SQL튜닝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구멍가게코딩단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데비안
- d
- iterator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GIT
- 선형대수
- 리눅스
- /etc/network/interfaces
- 스프링 시큐리티
- network configuration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resttemplate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서버설정
- 알파회계
- baeldung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Today
- Total
목록기타/파이썬 금융 데이터 분석 (11)
bright jazz music
#!/usr/bin/env python # coding: utf-8 # In[21]: index_cd = 'KPI200' page_n = 1 naver_index='https://finance.naver.com/sise/sise_index_day.naver?code=' + index_cd + '&page' + str(page_n) #https://finance.naver.com/sise/sise_index_day.naver?code=KPI200&page=1 # In[22]: from urllib.request import urlopen source = urlopen(naver_index).read() #소스 읽기 함수를 source에 대입 source # In[23]: import bs4 #알아볼 수 없..
S&P500 vs. KOSPI200 비교 네이버에서 KOSPI200 지수 수집하기(HTML 페이지 크롤링) 소스(네이버 금융) : https://finance.naver.com/sise/sise_index.nhn?code=KPI200
파이선의 문법의 구성요소 함수(def) ==> 클래스(class) ==> 모듈(module) ==> 라이브러리(library) 모듈은 파이썬 프로그램 단위로 생성된다. 즉, file.py라는 파일이 file이라는 모듈이 된다. 이 모듈 안에는 여러 개의 클래스가 존재할 수 있고, 클래스 안에는 여러 개의 함수가 존재할 수 있다. 외부 모듈을 가져올 때는 "import 모듈명"을 추가한다. 모듈이 어려 개 있는 라이브러리에서 특정 모듈만을 호출(임포트) 할 때는 "import 라이브러리명.모듈명"을 사용한다. 모듈에 있는 특정 함수만을 호출할 때는 from 모듈명 import 함수명"을 사용한다. 이는 불필요한 임포트를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또한 긴 모듈을 줄이기 위해 as를 사용하기도 한다. impor..
1. S&P500과 KOSPI200 그래프 함께 그리기 (구글 시트 실습) 엑셀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구글 시트(Google Sheets)로 작업했다. 좌측 상단 File - import 로 해서 다운받은 엑셀파일을 임포트하고, 행을 모두 선택한다. 다시 상단 insert에서 chart는 누르면 그림과 같이 차트로 만들어준다. 차트 그림에 우클릭하고 edit를 누르면 차트를 수정할 수 있다. 나의 경우는 spacing type - count만 조금 더 추가해 주었다. y(vertical axis)축에 ticker를 추가해 주었다는 의미이다. 여담이지만, 예전에는 엑셀에 비해서 속도라든지, 사용성이 조금 떨어진다고 생각했었는데 이제 그런 말은 통하지 않게 되었다. 엑셀이 얼마나 경쟁력을 유지할지도 장담할 ..
산포도, 산점도(scatter plots, dispersion graph) X축과 Y축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두 변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좋은 형식의 그래프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회귀분석이란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할 때 널리 쓰이는 통계적 방법이다. 결국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추세선을 찾아내는 것이 회귀분석의 목표이다. 추세선은 직선( y=ax+b ) 뿐만 아니라 다항식 곡선 (y²= ax³ + bx² + cx + d), 삼각함수( y = a sin x + b cos x + c)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추세선 추세선은 두 변수의 관계를 나타낸다. 추세선을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컴퓨터는 임의의 추세선을 그려가며 추세선과 각 점..
주가지수의 종류 : 종합지수, 대표지수, 섹터지수, 테마지수 등 지수화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대상의 가치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주가지수 역시 관찰하고자 하는 종목의 주가를 모아서 만든다. 지수 디자인 컨셉에 따라 종합지수, 대표지수, 섹터지수, 테마지수 등 종류가 다양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파악하고자 하는 대상'을 구성종목이라고 부른다. 종합지수 종합지수는 KOSPI(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DAQ(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지수 등 증권시장에 포함된 종목 전체가 관찰 대상이며, 국가 전체 경제 규모 변동을 반영하는 지표로도 사용된다. 대표지수 대표 지수는 KOSPI200, KOSDAQ..
주식과 가격 주식의 적정가격을 측정하려 시도하는 것이 주식투자의 핵심이다. 그 누구도 알 수 없다. 셀 수 없이 많은 가치관과 밸류에이션 방법이 존재할 뿐이다. 주가는 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반영 주가는 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반영한 종합 분석의 산물 애널리스트(analyst)의 존재 애널리스트는 주식의 가치를 산정하는 일을 한다. 애널리스트는 기업 실사, 미래 전망, 경쟁사 분석, CEO 인터뷰 등을 통해 기업을 분석하고, 주가 예측을 위한 밸류에이션을 시행해 목표 주가를 산정한다. 그리고는 분석 보고서를 발간한다. 이 모든 노력이 현재 주가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함이다. 거래가 발생하는 이유 - 주가를 산정하는 과정과 지표는 다양 - 같은 지표를 사용한다고 해도 실적을 계산식에 반영하는 방..
1. 아나콘다 설치 아나콘다(Anaconda)는 파이썬 개발을 위한 통합 환경 무료 제공 (python언어, IDE, 라이브러리를 모두 포함함) https://www.anaconda.com/download/ Anaconda | Individual Edition Anaconda's open-source Individual Edition is the easiest way to perform Python/R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on a single machine. www.anaconda.com - 64비트 선택 - 인스톨(되도록 설치 경로에 한글이 없도록 하는 것을 장려) 2.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으로 python명령 실행 - 아나콘다 네비게이..
돈의 시간가치(time value of money) 시간에 따라 돈의 가치가 달라지는 것 미래가치(Future Value) 계산 미래가치 = 현재가치 * (1+이자율) ==> FV = PV * (1+r) e.g. 1년 만기 이자율이 10%인 예금이 있다. 이 예금에 10,000원을 넣은 후 1년 뒤의 가치를 구하라. FV = 10000*(1+0.1) FV = 11,000원 현재가치(Present Value) 계산 현재가치= 미래가치 / (1+이자율) ==> PV = FV / (1+r) e.g. 1년 만기 이자율이 10%인 예금에 얼마를 넣어야 1년 후에 10,000원을 받을 수 있는지 구하라. PV = 10000 / (1+0.1) PV = 9090.90... = 9091원 금융공학과 돈의 시간가치 - 금..
1.1 금융상품과 금융공학자 금융(finance)은 대가(이자)를 약속하고 돈을 빌려주거나 빌리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돈을 빌려주는 목적과 그 대가는 이해하기에 간단하지만 그러한 방식은 여러 가지이다. 이러한 방식을 약정 조건이라고 하며, 그 안에는 상환 기간, 액수, 지불 방법 등이 포함된다. 은행대출 개인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면 개인에게는 초기에 큰 '+' 현금흐름이 발생한다. 그리고 약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인 '-' 현금 흐름이 발생한다. 반면 은행에는 초기에 큰 마이너스 현금흐름이 발생하고 이후에 지속적인 플러스 현금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당연히 개인이 은행에 상환하는 주기적인 플러스 현금흐름의 합이 총 대출액보다 크다. 은행은 예금자들이 맡긴 예금으로 대출을 실행하며, 예금자들에게 이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