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바편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resttemplate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알파회계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이터레이터
- 목록처리
- GIT
- d
- 구멍가게코딩단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리눅스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친절한SQL튜닝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iterator
- ㅒ
- baeldung
- 서버설정
- 스프링 시큐리티
- 선형대수
- 데비안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네트워크 설정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etc/network/interfaces
- 페이징
- network configuration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Today
- Total
bright jazz music
[bootBoard] N:1(다대일) 연관관계: 11-1. 검색처리: JQPL을 사용한 검색 본문
[bootBoard] N:1(다대일) 연관관계: 11-1. 검색처리: JQPL을 사용한 검색
bright jazz music 2022. 10. 9. 23:00FK를 이용해서 @ManyToOne과 같은 연관관계를 작성한 경우 가장 어려운 작업은 JPQL을 구성하는 것이다.
- 하나의 엔티티 타입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JPQL을 사용하여 동적 쿼리를 만드는 게 간편했다.
- 그러나 여러 엔티티 타입을 JPQL로 직접 처리하는 과정 자체가 기존과 달라지고 더욱 복잡해 진다
- 흔히 Tuple이라고 부르는 Object[ ] 타입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어떤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JPQL을 구성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1. 프로젝트의 변경 (build.gradle에 Querydsl 설정 추가)
bootBoard 프로젝트의 경우 지금까지는 Querydsl 설정이 없는 상태에서 작성되었다. 따라서 build.gradle에 Querydsl 설정을 추가해주는 작업부터 시작한다.
- 아래 코드 가운데 '###' 이 붙은 부분이 새로 추가해 준 부분이다.
- 만약 'Could not find method querydsl()' 오류가 난다면 plugin이나 dependencies에 querydsl을 추가해 줬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코드를 수정한 이후에는 반드시 build.gradle 파일을 refresh해 줄 것.
Build.gradle 전문
원래 버전은 자꾸 unable to load class 'com.mysema.codegen.model.type'. gradle 오류가 나서 예전에 사용하던 build.gradle 파일의 코드를 복사해 넣었다.
//querydsl 버전정보 추가####
buildscript {
ext {
queryDslVersion = "5.0.0"
}
}
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1'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id 'java'
id 'war'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querydsl 플러그인 추가####
}
group = 'com.example'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1'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providedRuntime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omcat'
test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괄호 넣어줌
//아래에 mariadb관련 jdbc 드라이버 추가. jpa 관련 설정 추가, thymeleaf에서 쓸 java8 날짜 라이브러리 추가
exclude group: 'org.junit.vintage', module: 'junit-vintage-engine'
}
// compile, runtime, testCompile, testRuntime 은 Gradle 4.10 (2018.8.27) 이래로
// deprecate 되었다. 그리고 Gradle 7.0 (2021.4.9) 부터 삭제되었다.
// 삭제된 네 명령은 각각 implementation, runtimeOnly, testImplementation, testRuntimeOnly 으로 대체되었다.
// compile group: 'org.mariadb.jdbc', name: 'mariadb-java-client'
// compile group: 'org.thymeleaf.extras', name: 'thymeleaf-extras-java8time'
// 아래와 같이 써준다.
implementation('org.thymeleaf.extras:thymeleaf-extras-java8time')
implementation('org.mariadb.jdbc:mariadb-java-client')
implementation('org.thymeleaf.extras:thymeleaf-extras-java8time')
// ' : ' 콜론을 띄어 쓰며 오류남.
//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queryDslVersion}" //querydsl 의존성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apt:${queryDslVersion}"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querydsl 추가 시작####
// querydsl에서 사용할 경로 설정
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ed/querydsl"
// JPA 사용 여부와 사용할 경로를 설정
querydsl {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Dir
}
// build 시 사용할 sourceSet 추가
sourceSets{
main.java.srcDir querydslDir
}
// querydsl 컴파일시 사용할 옵션 설정
compileQuerydsl {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
//build.gradle을 갱신하면 여기가 실행가능한 task가 됨.
}
// querydsl 이 compileClassPath 를 상속하도록 설정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
//querydsl 추가 끝####
그 후에 구동 버튼을 눌러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2. Repository 확장
Spring Data JPA의 Repository를 확장하는 위한 단계
- 쿼리메서드나 @Query 등으로 처리할 수 없는 기능은 별도의 인터페이스로 설계
- 별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현 클래스 작성. 이 때 QuerydslRepositorySupport라는 클래스를 부모클래스로 사용
- 구현 클래스에 인터페이스 기능을 Q도메인 클래스와 JPQLQuery를 이용하여 구현
2-1. QuerydslRepositorySupport 동작 확인
- QuerydslRepositorySupport 클래스는 Spring Data JPA에 포함된 클래스이다.
- Querydsl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한다.
- 따라서 개발자가 원하는 기능하는 Repository를 작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클래스라고 할 수 있다.
2-2. QuerydslRepositorySupport를 사용하기: search 기능 추가
Repository 패키지 내에 search 패키지 추가: 여기에 검색 기능 만들 예정.
이렇게 추가된 패키지에는 확장하고 싶은 기능을 인터페이스로 선언한다. 예제에서는 검색 기능을 확장코자 한다.
- 이 때 인터페이스 내의 이름은 가능하면 쿼리 메서드와 구별 가능토록 작성한다.
- SearchBoardRepository 인터페이스 선언
- SearchBoardRepositoryImpl 클래스 선언(단, 이 때 구현 클래스명은 "인터페이스명 + Impl"이 돼야 한다.)
2-3. SearchBoardRepository 인터페이스 작성
//SearchBoardRepository.java
package com.example.bootboard.repository.search;
import com.example.bootboard.entity.Board;
public interface SearchBoardRepository {
Board search1();
}
2-4. SearchBoardRepositoryImpl 클래스 작성
SearchBoardRepository 인터페이스에 작성된 메서드를 오버라이드 한다.
여기서는 로그를 사용해서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 SearchBoardRepositoryImpl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QuerydslRepositorySupport 클래스를 상속한다는 점이다.
- QuerydslRepositorySupport는 생성자가 존재하므로 클래스 내에서 super()를 이용해서 호출해야 한다.
- 이 때 도메인 클래스를 정하는데 null은 넣을 수 없다.
package com.example.bootboard.repository.search;
import com.example.bootboard.entity.Board;
import lombok.extern.log4j.Log4j2;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QuerydslRepositorySupport;
@Log4j2
public class SearchBoardRepositoryImpl extends QuerydslRepositorySupport
implements SearchBoardRepository {
//생성자
public SearchBoardRepositoryImpl(){
super(Board.class); //여기서 super는 querydslRepositorySupport이다.
}
@Override
public Board search1(){
log.info("search1............");
return null;
}
}
2-5. BoardRepository 수정
//BoardRepository.java
package com.example.bootboard.repository;
import java.util.List;
//SearchBoard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상속
public interface Board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Board, Long>, SearchBoardRepository {
//...
}
3. 테스트
BoardRepositoryTests 클래스에 코드 테스트 코드 추가
//BoardRepositoryTests.java
@SpringBootTest
public class BoardRepositoryTests {
...
@Test
public void testSearch1(){
boardRepository.search1();
}
...
}
콘솔 로그
해당 메서드를 호출했을 때 로그가 찍히는 것을 확인하였으니 다음에는 여기에 실제 JPQL을 작성할 것
'Framework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tBoard] N:1(다대일) 연관관계: 11-3. Tuple객체, groupBy()를 사용한 집합 함수 처리 (0) | 2022.10.11 |
---|---|
[bootBoard] N:1(다대일) 연관관계: 11-2. 검색처리: JQPL을 사용한 검색 / leftJoin(), on() (0) | 2022.10.11 |
[bootBoard] N:1(다대일) 연관관계: 10-4 화면처리: 게시물 수정/삭제 처리 (0) | 2022.10.09 |
[bootBoard] N:1(다대일) 연관관계: 10-3 화면처리: 게시물 조회 처리 (0) | 2022.10.09 |
[bootBoard] N:1(다대일) 연관관계: 10-2 화면처리: 게시물 등록 처리 (0) | 2022.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