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이터레이터
- 자바편
- 스프링 시큐리티
- 친절한SQL튜닝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d
- ㅒ
- 네트워크 설정
- 목록처리
- 페이징
- 리눅스
- 알파회계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선형대수
- iterator
- 구멍가게코딩단
- /etc/network/interfaces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baeldung
- resttemplate
- 서버설정
- network configuration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데비안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GIT
- Today
- Total
bright jazz music
2. React에서 axios 사용하기(POST) 본문
React에서 axios를 사용하여 POST 요청을 보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axios`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npm install axios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POST 요청을 보내는 React 컴포넌트에서 `axios`를 import합니다.
import axios from 'axios';
그리고 POST 요청을 보낼 함수를 만듭니다. 함수에서 `axios.post()`를 사용하여 요청을 보냅니다. 다음은 간단한 예시입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axios from 'axios';
class MyComponent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data: ''
};
}
sendData = () => {
const data = { name: 'John', age: 25 }; // 보낼 데이터 객체
axios.post('https://example.com/api', data)
.then(response => {
console.log(response.data); // 성공적으로 요청을 보낸 후 받은 응답 데이터
this.setState({ data: response.data });
})
.catch(error => {
console.error(error); // 요청 중에 발생한 에러
});
}
render() {
return (
<div>
<button onClick={this.sendData}>데이터 보내기</button>
<p>받은 데이터: {this.state.data}</p>
</div>
);
}
}
export default MyComponent;
위 예시에서 `sendData` 함수는 버튼을 클릭할 때 실행되며, `axios.post()`를 사용하여 'https://example.com/api'로 POST 요청을 보냅니다. 요청이 성공하면 `.then()` 블록이 실행되며, 응답 데이터가 콘솔에 출력되고 `data` 상태가 업데이트됩니다. 요청 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catch()` 블록이 실행되며, 에러가 콘솔에 출력됩니다.
이것은 간단한 예시이며, 실제로는 요청을 보낼 URL과 데이터를 적절하게 변경해야 합니다. 또한, 이 코드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useState` 훅을 사용하여 상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함수형 예시
그리고 POST 요청을 보낼 함수를 만듭니다. 함수 안에서 `axios.post()`를 사용하여 요청을 보냅니다. 다음은 간단한 예시입니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MyComponent = () => {
const [data, setData] = useState('');
const sendData = () => {
const requestData = { name: 'John', age: 25 }; // 보낼 데이터 객체
axios.post('https://example.com/api', requestData)
.then(response => {
console.log(response.data); // 성공적으로 요청을 보낸 후 받은 응답 데이터
setData(response.data);
})
.catch(error => {
console.error(error); // 요청 중에 발생한 에러
});
}
return (
<div>
<button onClick={sendData}>데이터 보내기</button>
<p>받은 데이터: {data}</p>
</div>
);
}
export default MyComponent;
위 예시에서 `MyComponent`는 함수형 컴포넌트로 작성되었습니다. `useState` 훅을 사용하여 `data` 상태와 `setData` 함수를 정의합니다. `sendData` 함수는 버튼을 클릭할 때 실행되며, `axios.post()`를 사용하여 'https://example.com/api'로 POST 요청을 보냅니다. 요청이 성공하면 `.then()` 블록이 실행되며, 응답 데이터가 콘솔에 출력되고 `setData`를 통해 `data` 상태가 업데이트됩니다. 요청 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catch()` 블록이 실행되며, 에러가 콘솔에 출력됩니다.
이 예시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axios`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간단한 예시입니다. 실제로는 요청을 보낼 URL과 데이터를 적절하게 변경해야 합니다.
'Framework > Reac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인 후 메인페이지 이동 (작업중) (0) | 2023.05.22 |
---|---|
3. React에서 axios 사용하기(POST) 테스트 (0) | 2023.05.22 |
1. React에서 axios 사용하기(GET) (0) | 2023.05.21 |
생활코딩: next.js (0) | 2023.05.18 |
생활코딩: Redux toolkit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