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terator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스프링 시큐리티
- 이터레이터
- ㅒ
- network configuration
- 알파회계
- resttemplate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서버설정
- 페이징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자바편
- 목록처리
- 친절한SQL튜닝
- 리눅스
- baeldung
- 선형대수
- 네트워크 설정
- /etc/network/interfaces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구멍가게코딩단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d
- GIT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데비안
- Today
- Total
bright jazz music
CSS의 position 속성으로 HTML 요소 배치 본문
출처:
https://www.daleseo.com/css-position/
1. position: static
- position 속성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인 static이 적용된다.
- position 속성이 static인 요소는 HTML 문서 상에서 원래 있어야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 이는 요소들이 HTML에 작성된 순서 그대로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top, left, bottom, right 속성값은 positio 속성이 static일 때는 무시된다.
2. position: relative
- position 속성을 relative로 설정하면 요소를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게 배치할 수 있다.
- 요소를 원래 위치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배치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 요소의 위치 지정은 top, bottom, left, right 속성을 이용하여 요소의 원래 위치를 기준하여 상하좌우로 떨어진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3. position: absolute
- absolute 속성값은 relative 속성값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absolute 속성값을 사용하면 배치 기준이 상황에 따라 다양화 될 수 있다.
- position의 속성값이 absolute인 경우 해당 요소는 배치 기준을 자신이 아닌 상위 요소에서 찾는다.
- DOM트리를 따라 올라가다가 position 속성이 static이 아닌 첫 번째 상위 요소가 해당 요소의 배치기준이 된다.
- position 속성이 static이 아닌 요소가 없다면 DOM 트리의 최상위에 있는 <body> 요소가 배치 기준이 된다.
- 실제로는 부모요소(가장 가까운 상위 요소)를 기준으로 top, left, bottom, right 속성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 따라서 어떤 요소의 display 속성을 absolute로 설정하면 부모요소의 display 속성을 relative로 지정해 주는 것이 관례이다.
- position: absolute인 요소는 HTML문서에서 독립되어 앞뒤에 나온 요소와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 만약 두 번째 요소가 absolute이고 첫 번째 요소의 배치기준이 static이라면 두 번째 요소가 빠지고 첫 번째와 세 번째 요소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4. position:fixed
- position 속성을 fixed로 지정하면 요소를 항상 고정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 화면을 위아래로 스크롤하더라도 화면의 특정 부분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UI가 대표적인 예다. (라이브 채팅 버튼)
-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fixed의 속성값의 배치 기준이 자신이나 부모 요소가 아닌 viewport, 즉 브라우저 전체이기 때문이다.
- top, left, bottom, right 속성은 각각 브라우저 상단, 좌측, 하단, 우측으로부터 해당요소가 떨어져 있는 거리를 결정한다.
- position:fixed 요소도 position:absolute 요소와 마찬가지로 HTML 문서 상에서 독립되어 앞뒤 요소와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5. position:sticky
- 최근에 추가된 속성값. 브라우저 화면을 스크롤링할 때 효과가 나타난다.
- 부모의 요소가 스크롤링이 가능해야 한다. 부모요소에 overflow: auto;를 적용한다.
- 자식 요소에 position:sticky를 설정해준다. 이때 만약 top을 0으로 설정한다면 자식요소의 top이 0이 되었을 때 화면에 고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