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리눅스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친절한SQL튜닝
- d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스프링 시큐리티
- 구멍가게코딩단
- baeldung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자바편
- 알파회계
- /etc/network/interfaces
- 목록처리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서버설정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데비안
- network configuration
- ㅒ
- 네트워크 설정
- 페이징
- iterator
- 선형대수
- GIT
- resttemplate
- 이터레이터
- Today
- Total
목록OS 및 기타 (43)
bright jazz music
hjcha에서 1. master 브랜치로 전환: git checkout master 2. master 브랜치의 최신 상태를 hjcha 브랜치에 병합: git pull origin master 3. 그 다음, hjcha 브랜치로 전환 git checkout hjcha 4. 마지막으로, master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hjcha 브랜치에 병합합니다. git merge master 5. hjcha 브랜치에서 변경 사항을 원격 저장소에 푸시합니다. git push origin hjcha 6. 병합된 내용을 master 브랜치에 병합요청: GitHub, GitLab, Bitbucket 등의 Git 호스팅 서비스에서 hjcha 브랜치를 master 브랜치에 병합하기 위한 풀 리퀘스트(또는 병합 요청)를 생성 이 ..
1. 파일시스템 모듈 입력 데이터가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주어지는 경우, 파일시스템 모듈을 사용한다.만약 ./input.txt 파일의 내용이 아래와 같다면, 548 20 39 55 77 let fs = require('fs');let input = fs.readFileSync('./input.txt', 'utf-8').toString().split('\n');// split() 을 이용해서 줄바꿈 기호를 기준으로 각각의 정보를 읽어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readLine 모듈보다 파일시스템 모듈이 빠르게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console.log(input);[ '5', '48 20 39 55 77' ] 이를 이용하면 파일을 한꺼번에 읽어올 수 있다. 2. readLine 모듈한 줄씩 입력받아서 ..
1. .JKS 파일에[서 pkcs12(p12) 인증서 추출 keytool -importkeystore -srckeystore [your_keystore_filename].jks -destkeystore [keystore_name].p12 -deststoretype PKCS12 *jks파일 확장자가 없는 경우 그냥 파일명만 적어서 명령어를 실행한다. e.g. keytool -importkeystore -srckeystore keystsore -destkeystore molida_keystore.p12 -deststoretype PKCS12 2. 개인키 파일 추출 openssl pkcs12 -in [keystore_name].p12 -nocerts -out [private_key_name].pem –node..
/*사용할 전역 변수 선언 */def target = "EcertAdmin*.jar"def target_dir = "/home/coffee/chainverse-apps/ecertificate/back-apps/icert-admin"def backup_dir = "${target_dir}/backup"def docker_container="icert-admin"pipeline { agent { label 'docker-agent-for-node-and-java' } stages { stage('kill current java process') { /* 먼저 192.168.2.104에서 coffee를 docker 그룹에 포함..
#!/bin/bash#file에 디렉터리 경로를 포함한 파일명 담기#basename 함수를 사용하여 경로를 제외한 파일명만 추출#추출한 파일명에 "오늘일자.bak" 붙여서 backup 디렉터리로 이동#변수선언target=$1target_dir=$2backup_dir=$3#아규먼트 제공여부 확인. -z : 빈 문자열 여부 확인.if [ -z "${target}" ] || [ -z "${target_dir}" ] || [ -z "${backup_dir}" ]; then echo "#### ERROR: Please provide three appropriate arguments! (target, target_dir, backup_dir) ####" exit 1fi# target_dir가 존재하는지 확인...
1. 깃랩 access 토큰 발행 - 깃랩 로그인 후 settings, access token 메뉴에서 API 스코프 선택 후 토큰 발행 - 이 때의 setting은 repository의 settings가 아니라 로그인한 자신에 대한 setting임.2. 젠킨스 2.1. 깃랩에서 생성한 access token을 사용하여 credential 생성 - dashboard > manage jenkins > credentials 이동 - credential 생성: 'gitlab api token' 선택. 그리고 gitlab에서 생성한 access token 입력 2.2. 깃랩 연결 시의 설정 등록 - gitlab plugin설치 후 gitlab connection 항목 설정 - dashboard > ..
변경 전 server { listen 80; location / { #root /usr/local/ecert24; root /home/chainverse-apps/ecert24/front-apps/build; index index.html index.htm; try_files $uri $uri/ /index.htm; } location /api { proxy_pass http://127.0.0.1:10000/api; } } 변경 후 index.htm ==> index.html server { listen 80; location / { #root /usr/local/ecert24; root /home/chainverse-apps/ecert24/front-apps/build; index index.html ..
참고: 해당 vm의 OS는 rocky linux 9.1d이다. root 볼륨 명은 rl-root이다. centos를 사용한다면 centos-root로 적용해야 할 것이다. #proxmox 호스트 머신 root@chainverse:~# qm config 112 boot: order=scsi0;ide2;net0 cores: 4 ide2: hdd:iso/CentOS-7-x86_64-Minimal-1908.iso,media=cdrom,size=942M memory: 16384 meta: creation-qemu=7.2.0,ctime=1680057785 name: bc-node01 net0: virtio=C6:53:9B:89:EB:EC,bridge=vmbr0,firewall=1 numa: 0 ostype: l26..
1. Docker 설치: 먼저 Docker를 설치돼 있어야 한다. Docker Desktop 또는 Docker Engine을 설치하면 된다.2. MariaDB 이미지 가져오기:Docker Hub에서 MariaDB 이미지를 가져온다.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docker pull mariadb3. 컨테이너 실행: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MariaDB 컨테이너를 실행한다. 이 명령어는 MariaDB 컨테이너를 실행하고 임의의 이름을 지정한다. 여기에서는 "my-mariadb"로 지정.(나는 호스트의 3306 포트를 마리아디비 컨테이너의 3306 포트와 매핑해 주었다. 마리아디비 컨테이너를 구동하면 기본 포트는 3306으로 되어 있다.)docker run -d -p 3306:3306 --name my-..
https://docs.docker.com/storage/volumes/ Volumes docs.docker.com 1. 도커 볼륨 생성하고 목록보기 : 아래와 같이 생성하면 기본적으로는 /var/lib/docker/volume에 생성된다. [coffee@localhost ecert24]$ cd /usr/local [coffee@localhost local]$ sudo docker volume create dev-volume dev-volume [coffee@localhost local]$ 1.1. 특정 경로에 볼륨 생성하기 $ sudo docker volume create --name data --opt type=none --opt device=/data --opt o=bind Docker 컨테이너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