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resttemplate
- d
- /etc/network/interfaces
- 선형대수
- ㅒ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스프링 시큐리티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리눅스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서버설정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자바편
- 친절한SQL튜닝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목록처리
- 네트워크 설정
- 구멍가게코딩단
- baeldung
- network configuration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페이징
- GIT
- iterator
- 데비안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알파회계
- 이터레이터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06)
bright jazz music
1.현대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설정하는 흔한 방법- Network Manager 사용- systemd 사용 수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etc/network/interfaces 파일 설정(데비안, 우분투 계열) 이 포스팅에서는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2.Network Interface란?컴퓨터와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 지점즉, 리눅스 시스템이 네트워킹의 소프트웨어 측면을 하드웨어에 연결하는 방식. 2.1. Network Interface 유형리눅스 시스템은 두 가지 타입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분한다.physical network interface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virtual network interfac..
가상화 환경 구성: Proxmox VE에서 가상 머신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브릿지 인터페이스를 설정.네트워크 분리: 물리적 네트워크(192.168.3.0/24)와 가상 네트워크(10.10.10.0/24)를 분리하여 관리.보안 및 접근성: NAT와 포트 포워딩 규칙을 통해 내부 가상 머신에 대한 외부 접근을 제어.유연성: 주석 처리된 부분을 통해 필요시 추가 네트워크 구성을 쉽게 활성화할 수 있도록 준비. 가상화 환경에서 필요에 따라 내부 서비스를 외부에 안전하게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음.현재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연결만 활성화되어 있으며, 추가적인 가상 네트워크나 포트 포워딩은 비활성화 상태임.# network interface settings; autogenerated# Please do 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te8i/btr5AYqc0Jw/aEvEF6FI3VAeHdlpee1xdk/img.png)
cmddiskpartlist diskselect [디스크번호] ---- clean : 포맷이런 방식을 통해서 볼륨을 만들면 인식된다. 그런데 이 방식으로는 exFAT이나 NTFS가 아닌 FAT32로 포맷할 수는 없다. .. 여기서부터는 일단 NTFS나 exFAT으로 만든 뒤 인식하게 해서 rufus같은 툴로 만드는 방법을 추천하더라. 볼륨이 너무 커서 FAT32로 포맷은 실패하였다.어떤 블로그에서는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서 처리하는 방법을 추천하였다. 이제 사용하면 된다. FAT으로 할 거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8Egc/btr2YaFrsE7/ahGskZjnY6KKrQNF328Cck/img.png)
환경설정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7093612/in-a-dockerfile-how-to-update-path-environment-variable In a Dockerfile, How to update PATH environment variable? I have a dockerfile that download and builds GTK from source, but the following line is not updating my image's environment variable: RUN PATH="/opt/gtk/bin:$PATH" RUN export PATH I read that tha... stackoverflow.com 1, 도커 설치 2. syste..
리눅스는 일반사용자에게 WellKnown PORT 사용권한을 부여하지 않는다. Well Known port는 1024번 이하의 포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는 것이다. 이 때는 루트 계정으로 실행하거나 sudo를 사용해서 명령어를 실행시킨다. 또는 포트포워딩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이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x4Eb/btr2D6RwyJp/VrwQw63ERl5dEmiii4cSNk/img.png)
지역환경변수 설정 [환경변수]=[환경변수내용] e.g. TOMCAT_HOME=/usr/local/tomcat 전역환경변수 설정 환경변수를 등록한 터미널 뿐만 아니라 다른 터미널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환경변수. export [환경변수]=[환경변수내용] e.g. TOMCAT_HOME=/usr/local/tomcat 루트 계정으로 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InnT/btr2Fcqk1N9/gTr6D8a6L5y4bqKcW0jGb1/img.png)
요약 WebClientPostService.java를 생성하여 WebClient 요청, 응답 수신 로직을 작성한다. 응답을 브라우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WebClientController.java 파일에 경로를 작성한다. 이해에 용이하도록 요청 측 controller - 요청측 service - 수신 측 controller - 결과 순으로 내요을 구성하였다. 1. WebClientController.java 작성(요청 측 컨트롤러 http://localhost:8080) //WebClientController.java package com.project.base.controller; import com.project.base.domain.MemberDto; import com.project.base.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5HYUX/btr2Cyf3Zpj/NACsAiDfJoTdLCqTvsypC0/img.png)
1. WebClient란? Spring Web Flux가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HTTP 요청을 수행한다. WebClient는 Reactor 기반으로 동작하는 API이다. 리액터 기반이므로 스레드와 동시성 문제를 벗어나 비동기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WebClient의 특징 논블로킹(Non-Blocking) I/O를 지원 Reactve Stream의 Back Pressure 지원 적은 하드웨어 리소스로 동시성 지원 함수형 API 지원 동기, 비동기 상호작용 지원 스트리밍 지원 3. 사용 3.1 WebClient 사용을 위한 의존성 추가 WebFlux를 빌드 설정에 추가해 줘야 한다. //build.gradle dependencies { // https://mvnrepository.com/artif..
RestTemplate은 HTTPClient를 추상화 한다. HttpClient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RestTemplate이 추상화 하는 HTTPTemplate은 RestTemplate은 기본적으로 커넥션 풀을 제공하지 않는다. 커넥션 풀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면 매번 호출할 때마다 포트를 열어 커넥션을 생성한다. 따라서 TIME_WAIT 상태가 된 소켓을 사용하려고 접근하여도 재사용할 수 없다. 커넥션 풀 기능을 활성화 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HTTPClient가 추상화 하는 HTTPClient를 아파치에서 제공하는 HTTPClient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1. 아파치 HttpClient 의존성 추가 //build.gradle dependencies { // https://mvnrepo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RZKz/btr1ucMPOJl/LQc8NKENCKqhoykB2pI2Ck/img.png)
RestTemplate (Spring Framework 6.0.5 API) postForLocation Create a new resource by POSTing the given object to the URI template, and returns the value of the Location header. This header typically indicates where the new resource is stored. URI Template variables are expanded using the given URI v docs.spring.io 1. RestTemplate이란 스프링에서 HTTP 통신 기능을 간단히 사용하도록 설계된 템플릿이다. 기본적으로 동기 방식으로 기능한다. 비동기 방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