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친절한SQL튜닝
- GIT
- network configuration
- 서버설정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이터레이터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d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데비안
- /etc/network/interfaces
- iterator
- baeldung
- 페이징
- 선형대수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ㅒ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목록처리
- 알파회계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네트워크 설정
- 자바편
- 스프링 시큐리티
- resttemplate
- 구멍가게코딩단
- 리눅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06)
bright jazz music
#배열의 형태 import numpy as np a = np.array([[0, 1, 2], [3, 4, 5]]) #2행 3열의 2차원 배열 print(np.shape(a)) #shape() : 배열의 형태를 나타내는 튜플 반환 #행 수를 구하는 경우 len()함수 사용 가능 print(len(a)) # (2, 3) # 2 #배열의 연산 import numpy as np a = np.array([[0, 1, 2], [3, 4, 5]]) #2차원 배열 print(a) print() print(a + 3) #각 요소에 3을 더함 print() print(a * 3) #각 요소에 3으 곱함 # [[0 1 2] # [3 4 5]] # # [[3 4 5] # [6 7 8]] # # [[ 0 3 6] # [ 9 1..
#numpy 기본 배열 사용하기 #1차원 배열 import numpy as np a = np.array([0, 1, 2, 3, 4, 5]) #python의 리스트로부터 Numpy 배열을 만든다. eng_list = ['a', 'b', 'c', 'd', 'e'] b = np.array(eng_list) print(a) print(b) #[0 1 2 3 4 5] #['a' 'b' 'c' 'd' 'e'] #2차원 배열 import numpy as np b = np.array([[0, 1, 2], [3, 4, 5]]) #2중 리스트로부터 Numpy의 2차원 배열을 만든다. print(b) # [[0 1 2] # [3 4 5]] #3차원 배열 import numpy as np c = np.array([ [[0,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yarAX/btrEDRQbdaF/cxOU3RaKK2VymK5UO18cK1/img.png)
jpa 인터페이스 생성 package org.zerok.ex2.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import org.zerok.ex2.entity.Memo; public interface Memo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 { //JpaRepository를 사용할 때는 엔티티 타입 정보(여기서는 Memo클래스)와 @Id 타입을 지정한다. //SpringDataJpa는 인터페이스 선언만으로도 자동으로 bean으로 등록한다. //(내부적으로는 인터페이스 타입에 맞는 객체를 생성해서 빈으로 등록한다.) //선언이 끝났으면 test폴더-repository패키지생성-MemoReposi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ae8e/btrEnSpqo9W/Kdoi49Iod5Ho7J7Z7GltZ0/img.png)
package org.zerok.ex2.entity; import lombok.*; import javax.persistence.*; @Entity @Table(name="tbl_memo") //name옵션이 없으면 클래스 이름으로 테이블 생성 @ToString @Getter @Build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o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mno; @Column(length = 200,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memoText; } /* * @Entity * SpringDataJPA에서는 반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XBol/btrDi5deDIx/CCBxKq5DFJWifdJJzuL5W0/img.png)
import numpy as np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ftemp = [63, 73, 80, 86, 84, 78, 66, 54, 45, 63] #파이썬의 리스트F = np.array(ftemp) #파이썬 리스트를 numpy 배열 객체로 생성해라C = 5 / 9 * (F - 32)print(type(F))print(F)print(C)plt.plot(C)plt.show() #2차원 배열import numpy as npnums = np.array([[1,2,3], [4,5,6], [7,8,9]])print(nums)print(nums[0][2]) #3 출력# [[1 2 3]# [4 5 6]# [7 8 9]]# 3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cDHk/btrC2C2audG/KlZtQHoIrX0ezTpAyG02NK/img.png)
#온도 변환 함수 import tkinter as tk from tkinter import ttk win = tk.Tk() win.title('온도 변환') win.geometry('300x300-800+50')#너비높이왼가로윗세 win.resizable(width=False, height=False)#둘 중 하나만 쓰면 적용 안됨 def buildGUI(): #화씨 라벨 text_label1 = ttk.Label(win, text='화씨') text_label1.pack() #화씨 엔트리 입력 global fahren fahren = tk.StringVar() input_fahren = ttk.Entry(win, textvariable = fahren) input_fahren.pack() #섭씨 라벨 ..
#2차원 상의 한 좌표점 나타내기 #2차원 상의 한 좌표점 (x, y)를 객체로표현하라. #다음과 같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라. #p1 = Point() #좌표값(0, 0)을 나타내는 객체 생성 #p2 = Point(2, 3) #좌표값(2, 3)을 나타내는 객체 생성 #현재 객체의 좌표값을 (x, y) 형식의 문자열로 출력하는 메서드 show()를 제공하라 #p2.show() #화면에 (2, 3)과 같이 출력 #다음과 같이 새로운 좌표값을 설정하는 메서드 set()을 제공하라 #p1.set(1, 2) #p1의 좌표값을 (1, 2)로 설정 #p1.show() #화면에 (1, 2) 출력 #객체가 갖고 있는 좌표값을 튜플로 반환하는 메서드 get()을 제공하라 #x, y = p2.get() #print..
#(1)날짜 반환 함수 # 사용자로부터 연/월/일로 구성되는 특정 날짜를 입력받아 #반환하는 함수 get_date() 정의 #손쉬운 날짜 계산을 위해 개별 정수로 입력받아 유지 # 튜플로 묶어 반환 # 이 함수를 이용해 광복절 80주년을 계산 #함수 선언부 def get_date(year, month, day): eighty_th_anniv = year + 80 return (eighty_th_anniv, month, day) #튜플 반환 #주프로그램부 print('우리나라가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인 광복절은 언제인가') year = int(input('연도?')) month = int(input('월?')) day = int(input('일?')) eightyth = get_date(year, mon..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ReverseArray { static void swap(int[] a, int idx1, int idx2) { // 실제로 위치를 교체 int t = a[idx1]; a[idx1] = a[idx2]; a[idx2] = t; } static void reverse(int[] a) { for(int i=0; i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순서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한 복합 자료형요소 인덱스는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0부터 시작 다만 리스트와 달리 한 번 정의되 ㄴ이후에는 그 내용을 바꿀 수 없음- 튜플의 요소값을 수정/삭제/추가 불가- 리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동작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초기값 할당을 통해 먼저 선언한 후 사용() 안에 1개 이상의 값들을 콤마로 구분하여 나열t1 = (11, 22, 33)t2 = 11, 22, 33t3 = (11)#튜플이 아니다. 걍 우선순위 변수선언이다.t4 = 11t5 = (11,) #이게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튜플의 선언이다.t6=11, #이것도 마찬가지이다. return a, b, c 해도 오류가 없는 것은 이것을 튜플로 묶어 반환했기 때문괄호는 생략되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