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페이징
- /etc/network/interfaces
- GIT
- 선형대수
- 구멍가게코딩단
- 목록처리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리눅스
- d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데비안
- 스프링 시큐리티
- 알파회계
- resttemplate
- 친절한SQL튜닝
- baeldung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iterator
- 네트워크 설정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서버설정
- ㅒ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이터레이터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자바편
- network configuration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06)
bright jazz musi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hzRK/btrGhzUYfzc/FfoQRToPNvb7ekX7suwgH1/img.png)
실제 프로젝트를 작성하는 경우 엔티티 객체를 persistence context 바깥쪽에서 사용하는 방식보다는 DTO를 이용하는 방식을 권장하였다. DTO(Data Transfer Object) : 각 계층끼리 주고받는 우편물 개념. 순수하게 데이터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엔티티 객체와 유사하다. 그러나 목적 자체가 데이터의 전달이므로 읽고 쓰는 것이 모두 허용된다. 또한 persistence context에서 여러 번 사용되는 엔티티 객체와는 달리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엔티티 객체(Entity): 단순히 데이터를 담는 객체가 아니라 실제 DB와 관련이 있고, 내부적으로 entity manager가 관리하는 객체이다. 엔티티 매니저를 생성하면 그 내부에 일대일로 persistence cont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nJfX/btrGcWvWK1d/nTrsXEG8WmL4mVOWRo08i0/img.png)
이전글 2022.06.30 - [분류 전체보기] - guestbook : 03. 자동 일자/시간 처리(등록/수정 등) +Querydsl (2) 여기서 querydsl을 사용할 테스트 '제목/내용/작성자'와 같이 단일 항목으로 검색하는 경우 (단일 항목 검색 테스트) '제목 + 내용', '내용 + 작성자' 또는 '제목 + 작성자'와 같이 2개의 항목으로 검색하는 경우 '제목 + 내용 + 작성자'와 같이 3개 항목으로 검색하는 경우 1. Querydsl을 사용 실제 개발에서는 엔티티 클래스에 더 많은 멤버 변수들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조합의 수는 훨씬 더 증가한다. 이런 경우 Querydsl을 사용할 수 있다. 2. Querydsl 사용법 BooleanBuilder 생성 조건에 맞는 구문에 대해서 Qu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damn4/btrF9hOVqSa/asWmaRgFAnuWaynbom5Mk1/img.png)
이전글: 2022.06.29 - [JAVA/Spring] - guestbook : 03. 자동 일자/시간 처리(등록/수정 등) +Querydsl (1) 1 . 엔티티 setter 기능 만들기(수정 시간 테스트) 엔티티 클래스는 가능하면 setter관련 기능을 만들지 않기를 권장한다. 엔티티 객체가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변경되면 JPA를 관리하는 쪽이 복잡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정 최소화가 권장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수정기능을 만들 수도 있다. Guestbook 클래스의 title과 content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해당 클래스에 changeTitle()과 changeContent() 메서드를 추가하자. //Guestbook.java package com.example.guestbook.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IV5a/btrF5O5BAUA/NZMwROGfZdvPpANHgEwqmK/img.png)
2022.06.26 - [JAVA/Spring] - guestbook: 01. 프로젝트 생성, gradle설정, DB연결, 구동 확인 2022.06.28 - [JAVA/Spring] - guestbook : 02. 기본 화면 레이아웃 구성 이번 포스팅 요약 1. 기본구조 생성 2. 자동 일자/시간 처리를 적용할 엔티티 생성(여기서는 BaseEntity.java) 3. Application클래스에서 AuditingListener 활성화 (GuestbookApplication.java에 @EnableJpaAuditing 어노테이션 추가) 4. AuditingListener를 적용한 엔티티 클래스(BaseEntity.java)를 상속할 엔티티 클래스(Guestbook.java) 생성 5. JPA를 이용할 R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pqxL/btrFYv0WpM9/wMkUZk65JZRlsQT6kKPFu1/img.png)
이전글: 2022.06.26 - [JAVA/Spring] - guestbook : 01. 프로젝트 생성, gradle설정, DB연결, 구동 확인 이 글은 구멍가게코딩단의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프로젝트" 챕터 3의 내용을 다룬다. 챕터 4를 진행하려면 챕터 3가 선행되어야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난 그걸 모른 채로 챕터 4부터 시작했다. 따라서 이 포스팅에서 중간에 챕터 3의 내용을 끼워 둔다. - Request는 Controller 객체로 처리 - Controller에 Service를 주입. 주입된 서비스를 이용하여 작업처리(ServiceImpl이 처리) - ServiceImple에 Repository를 주입. Repository는 Spring Data JPA를 이용해서 구성. - Req..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MqxLC/btrFY7Mc7gw/i6kGJvkTAYJEvCBUy3kBLk/img.png)
이 글은 구멍가게코딩단의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프로젝트" 챕터 3의 내용을 다룬다. 챕터 4를 진행하려면 챕터 3가 선행되어야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난 그걸 모른 채로 챕터 4부터 시작했다. 따라서 이 포스팅에서 중간에 챕터 3의 내용을 끼워 둔다. //SampleController.java package com.example.guestbook.controller; import com.example.guestbook.dto.SampleDTO; import javassist.tools.rmi.Sample; import lombok.extern.java.Log; import lombok.extern.log4j.Log4j2;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EqiX/btrFFPx5U7C/xCsjaZ3tghn1VU1Px92ak0/img.png)
from msilib import type_keyfrom pywinauto import applicationfrom pywinauto import timingsimport timeimport osapp = application.Application()app.start("C:/Program Files (x86)/NetMan/PClient/PClientUI.exe")# ' / ' 대신 ' \ '를 사용하면 유니코드 에러 발생 # title = 'PClientUI' swapy에 표시된 이름 그대로 사용해야함# title = 'PClient(32비트)' swapy에 표시된 이름 그대로 사용해야함title = '보안접속 - PClient'# dlg = timings.wait_until_..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dsw2/btrFCgaP47H/weBfkBTKJJyyd8aXZaHlO1/img.png)
함수 함수는 어떤 값 x을 정하면 그것에 종속적인 값 y가 정해지는 관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x를 정하면 y값이 결정될 때, 함수 f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y = f(x) 이것은 'y가 x의 함수이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수학의 함수와 프로그램의 함수의 차이 수학에서의 함수는 y=f(x)와 같이 표시된다. 함수 f에 들어가는 값 x와 처리가되고 나서 함수에서 나오는 값 y가 있다. 프로그래밍에서의 함수에는 함수에 들어가는 값으로서 인수가 있고 함수에서 나오는 값으로서 반환값이 있다. 프로그램의 함수는 인수, 반환값이 없는 경우가 있는 점이 수학에서의 함수와 다르다. 프로그램에서의 함수는 수학에서의 함수와 달리 연속적이지 않은 값밖에 표현할 수 없다. import numpy as np def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WaCti/btrFv0HCAin/nQhUmkYdzt60zo8sWbvXNK/img.png)
#변수, 상수 #변수: 변화하는 수 #상수: 일정한, 변화하지 않는 수 #변수와 상수를 이용해 직선 그리기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a = 1.5 #상수 x = np.linspace(-1, 1) #x: 변수 -1부터 1까지의 범위 y = a * x #y: 변수 plt.plot(x, y) plt.xlabel("x", size=14, color="red") plt.ylabel("y", size=14, color="blue") plt.grid() plt.show() 실습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b = 3 #상수 x = np.linspace(-1, 1) #x: 변수 y =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