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눅스
- 페이징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baeldung
- d
- /etc/network/interfaces
- 알파회계
- ㅒ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GIT
- resttemplate
- 스프링 시큐리티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자바편
- 선형대수
- 이터레이터
- 서버설정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목록처리
- 친절한SQL튜닝
- iterator
- 네트워크 설정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network configuration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데비안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구멍가게코딩단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06)
bright jazz musi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EOn4/btrHPNslWzd/2W9J01oSN4mx65Fy2WldwK/img.png)
● 수정과 삭제의 시작은 '수정' 페이지로 진입하는 것이다. 수정 화면에서 수정 또는 삭제 버튼을 눌러 처리한다. 수정 처리 게시글 조회 - 수정 버튼 클릭 - 내용 수정 - 수정 완료버튼 클릭- POST방식으로 데이터 전달 - 목록 페이지로 이동(PRG패턴) 삭제 처리 게시글 조회 - 삭제 버튼 클릭 - POST방식으로 데이터 전달 - 삭제 후 목록 페이지로 이동 1. 수정/삭제 처리를 위한 Controller 계층 수정 게시물의 수정과 삭제는 수정/삭제가 가능한 페이지에서 이루어진다. 이 페이지를 반환하기 위해 기존 GuestbookController.java의 read()메서드의 경로에 /modify를 추가한다. //GuestbookController.java package com.example.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Rey8/btrHMbUgd7E/C2RWEQD9dkrJtPKg9gYp7k/img.png)
● 현재는 게시글의 내용을 조회할 수 없다. ● 따라서 게시글을 을 클릭했을 때 내용을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1. service 인터페이스 수정 (GuestbookService.java) //GuestbookService.java (인터페이스) package com.example.guestbook.service; import com.example.guestbook.dto.GuestbookDTO; import com.example.guestbook.dto.PageRequestDTO; import com.example.guestbook.dto.PageResultDTO; import com.example.guestbook.entity.Guestbook; import org.springframework...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3EAi/btrHNW27vzO/ZFDvBi5YhQAK7fwFk0O3e1/img.png)
스칼라의 개념 스칼라(scarla)는 1, 5, 2, -7 등의 보통의 수치를 의미한다. 수식에서의 알파벳 또는 그리스 소문자로 스칼라를 나타내기도 한다. 파이썬에서의 스칼라 구현 a = 1 b = 1.2 c = -0.25 d = 1.2e5 #1.2 * (10의 5제곱 = 120000) ----- 벡터의 개념 벡터는 스칼라를 직선 상에 나열한 것이다. 알파벳 소문자 위에 화살표를 올린 것으로 벡터를 표현하기도 한다. 가로벡터와 세로벡터 벡터에는 세로로 수치를 나열하는 세로 벡터와 가로로 수치를 나열하는 가로 벡터가 있다. 가로벡터(horizontal vector, row vector) 가로 벡터 LaTeX 표기 수식 변환 $\vec{a} = (1, 2, 3)$ 세로벡터(vertical vector, co..
선형대수 선형대수는 다차원 구조를 가진 수치의 나열을 다루는 수학의 분야 중 한 가지이다. 다차원 구조에는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다. 스칼라 벡터 행렬 텐서 인공지능에서는 방대한 수치를 다뤄야 하는데 선형대수를 이용하면 방대한 수치에 대한 처리를 간결한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8986/btrHIdYVK5U/3utkMnTVm1lVwKzx3kTSFK/img.png)
주피터 노트북 사이트 접근 https://jupyter.org/ Project Jupyter The Jupyter Notebook is a web-based interactive computing platform. The notebook combines live code, equations, narrative text, visualizations, interactive dashboards and other media. jupyter.org 참고 Code로 되어 있으면 Cell 옆에 " [ ]: " 표시가 존재한다. Markdown으로 변경했을 경우 " [ ] : " 표시가 사라진다. 셀타입 변경 수식 입력 및 변환 이처럼 $를 하나만 사용하는 방식은 수식을 문장과 함께 사용할 때 유용하다. 수식 가운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nNyI/btrHIZlmSbW/U9b50ymQrCKeMKlyTUB8hK/img.png)
● 목록 페이지에 아래와 같은 기능를 추가한다. 글을 작성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는 것 목록에 있는 각 글의 번호나 제목을 클릭했을 때 조회 페이지로 이동하는 것 1. 등록 페이지로 가는 링크 만들기 1-1. list.html 파일의 태그 윗 부분에 "REGISTER" 버튼 추가 GuestBook List Page!!!! REGISTER!! # Title Writer Regdate [[${dto.gno}]] [[${dto.title}]] [[${dto.writer}]] [[${#temporals.format(dto.regDate, 'yyyy/MM/dd')}]] Previous! [[${page}]] Next! Modal title × Modal body text goes here!!!!!! Close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Xo1J/btrHBzt9Ga1/KZAJP6wYdxatwHlzedrJfK/img.png)
절댓값 절댓값은 값과 0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절댓값은 값의 양, 음을 무시하고 얻을 수 있는 음이 아닌 값을 말한다. 음수의 절댓값은 그 값에서 음의 부호를 뺀 것이다. 양수의 절댓값은 그 값 그대로이다. 인공지능에서 0을 중심으로 한 값의 퍼짐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x| = -x (x
MariaDB [(none)]> desc mysql.user;+------------------------+-----------------------------------+------+-----+----------+-------+| Field | Type | Null | Key | Default | Extra |+------------------------+-----------------------------------+------+-----+----------+-------+| Host | char(60) | NO | PRI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Czgp/btrHruZU7Zh/hDhzMJKWjd2z60F88xkkC0/img.png)
난수 난수는 규칙성이 없는 미확정의 수치이다. 인공지능에서는 파라미터의 초기화 등에 난수가 활용된다. 정수 난수 생성 파이썬에서는NumPy의 random.randint()함수를 사용하여 정수인 난수를 생성한다. 함수에 정수 a를 인수로 입력하면 0부터 a-1 까지의 정수를 난수로 반환한다. #정수인 난수 출력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r_int = np.random.randint(6) + 1 #0부터 5까지의 난수에 1을 더한다. print("np.random.randint(6) + 1 = ", r_int) #1부터 6까지가 랜덤으로 표시됨 #3 #1~6사이에서 랜덤으로 출력됨 소수 난수 생성 소수인 난수는 Numpy의 random.ra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titB/btrHthUTr8h/cGLAXb3A2sygpw4x2InQmK/img.png)
문제 발생. 앞에서 작성한 코드가 동작하지 않았다. localhost:8080/guestbook/register에서 글을 등록하면 DB에 저장되고 게시판에 표시는 되지만 모달창이 뜨질 않았다. 크롬에서 개발자 모드를 켜봐도 아래와 같은 오류만 나타낼 뿐이었다. uncaught referenceerror: $ is not defined modal 자바스크립트 문제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추가해 주었다. 아래와 같은 오류만 나타날 뿐이었다. TypeError: "x" is not a function.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Errors/Not_a_function 결국 저자가 운영하는 카페에서 소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