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친절한SQL튜닝
- 코드로배우는스프링웹프로젝트
- d
- 스프링 시큐리티
- ㅒ
- 네트워크 설정
- 자바편
- 이터레이터
- 페이징
- Kernighan의 C언어 프로그래밍
- 데비안
- resttemplate
- 코드로배우는스프링부트웹프로젝트
- GIT
- network configuration
- 처음 만나는 AI 수학 with Python
- 서버설정
- 리눅스
-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 티스토리 쿠키 삭제
- 처음 만나는 AI수학 with Python
- 자료구조와함께배우는알고리즘입문
- 구멍가게코딩단
- iterator
- 스프링부트핵심가이드
- 선형대수
- 알파회계
- baeldung
- /etc/network/interfaces
- 목록처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06)
bright jazz musi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9d3g/btrHZAsXmT2/Er6jcbanXgKEmLUrWHwG20/img.png)
● 화면에서의 처리 검색 처리를 위해서는 검색타입(type)과 키워드(keyword)를 입력할 수 있는 UI가 필요하다. 검색 자체가 GET방식이므로 한글이 아니라면 GET방식의 쿼리스트링을 조작해서 테스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경로와 쿼리스트링을 주소창에 적어주어도 검색이 가능하다. '/guestbook/list?page=1&type=t&keyword=11' 예) localhost:8080//guestbook/list?page=1&type=t&keyword=11 ==> 제목(t) 안에 '11'이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게시글들의 1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1. list 페이지에 검색 타입과 키워드 셀렉트 박스와 검색 버튼 추가하기 검색을 위한 셀렉트 박스, 검색창, 검색 버튼, clear..
아래의 항목을 참고하여 회계등식을 만들고 참 거짓을 구할 것 자산: 500 비용: 200 부채: 400 자본(순자산): 100 수익: 200 차변 대변 자산 + 비용 부채 + 자본(순자산) + 수익 자산 + 비용 = 부채 + 자본 + 수익 자산 = 500 비용 = 200 차변 = 자산 + 비용 부채 = 400 자본 = 100 수익 = 200 대변 = 부채 + 자본 + 수익 print(차변 == 대변) # True 참고 : 거래의 8요소 https://m.blog.naver.com/im_chungbin/221814567364 차변(Debtor) 대변(Credit) 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부채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순자산)의 감소 자본(순자산)의 증가 비용의 발생 수익의 발생
아래 항목을 가지고 회계 등식을 만들어라. 만든 회계 등식의 참(True)과 거짓(False)을 구하라. 자산 300,000 부채 200,000 자본(순자산) 100,000 True 자산 = 300000 부채 = 200000 자본 = 100000 print('자산 == 부채 + 자본') print(f'{자산} == {부채} + {자본}') print(자산 == 부채 + 자본 ) # 자산 == 부채 + 자본 # 300000 == 200000 + 100000 # True False 자산 = 300000 부채 = 200000 자본 = 150000 print('자산 != 부채 + 자본') print(f'{자산} != {부채} + {자본}') print(자산 == 부채 + 자본 ) # 자산 != 부채 + 자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vaIF/btrH1ArkAPz/cKB2XyEKue7zyiKU2tThm1/img.png)
내적(스칼라 곱, dot product, scarla product) 내적은 벡터 사이의 곱의 한 종류이다. 각 요소(scarla)끼리 곱한 값을 총합한다. 여기서 스칼라는 크기만 있고 방향은 가지지 않는 양이다. 즉, 방향이 있는 두 개의 벡터 값의 스칼라를 계산하는 것을 뜻한다. 주로 두 벡터 간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내적은 두 개 벡터의 상관관계를 구할 때 빈번히 사용한다. $\vec{a}=(a_{1}, a_{2}, \cdots , a_{n})$ $\vec{b}=(b_{1}, b_{2}, \cdots , b_{n})$ 위 두 벡터를 내적한다. 내적 $\begin{align} \vec{a}\cdot\vec{b} &= (a_{1}, a_{2}, \cdots , a_{n})\cdot(b_{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KXi6/btrH2hd9Bfy/TEfLHSZUNcVqQfWO3tgzGK/img.png)
https://github.com/hojuncha997/c-study GitHub - hojuncha997/c-study: c lang studyc lang study. Contribute to hojuncha997/c-stud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일일이 기록하기 어려워 추후 실습과 설명은 깃헙에 남긴다.. //hello.c//표준 입출력 라이브러리#include main() { printf("Hello, \n World\n");}/*c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함수로 구성된다.함수명은 원하는 대로 붙일 수 있다.주프로그램(서브루틴이 아닌)의 이름은 반드시 main이라고 해줘야 한다.main은 같은 프로그램 내에 있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gy4J/btrH2mML0we/GkiLPCtgxqZ4BspLbgwqk1/img.png)
● 검색 처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서버 사이드 처리 화면 사이드 처리 검색 항목은 대략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제목(t), 내용(c), 작성자(w)'로 검색하는 경우 '제목(t) 혹은 내용(c)'으로 검색하는 경우 '제목(t) 혹은 내용(c) 혹은 작성자(w)'로 검색하는 경우 1. 서버 사이드 처리 PageRequestDTO에 검색타입(type)과 키워드(keyword) 추가 이하 서비스 계층에서 Querydsl을 이용해서 처리 1-1. PageRequestDTO에 검색조건(type)과 검색 키워드(keyword) 추가 //PageRequestDTO.java package com.example.guestbook.dto;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KNXz/btrHU38dRWV/sxfuW6XBs4L4cOEz9eOp9k/img.png)
텐서(Tensor) 텐서는 스칼라를 여러 개의 차원으로 나월한 것이다. 텐서는 스칼라, 벡터, 행렬을 포함한다. 스칼라, 벡터, 행렬은 서로 다른 차원의 텐서이다. 각 요소에 붙은 첨자 수를 그 텐서의 차원수라고 말한다. 스칼라에는 첨자가 붙지 않는다. 따라서 스칼라는 0차원 텐서이다. 벡터에는 첨자가 1개 붙는다. 따라서 벡터는 1차원 텐서이다. 행렬은 첨자가 2개 붙는다. 따라서 행렬은 2차원 텐서이다. 3차원 텐서, 4차원 텐서 순으로 고차원으로 나아간다. 파이썬에서의 텐서 구현 import numpy as np a = np.array([[[0, 1, 2, 3], [2, 3, 4, 5], [4, 5, 6, 7]], [[1, 2, 3, 4], [3, 4, 5, 6], [5, 6, 7, 8]]]) #2..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4zZLq/btrHTJJmKzG/U77jrNZr9QFAORyKqdLaP0/img.png)
행렬 행렬은 스칼라를 격자로 나열한 것이다. 행렬에서 수평 방향의 스칼라의 나열을 행이라고 한다. 수직 방향의 스칼라의 나열을 열이라고 한다. 행렬의 예 아래 행렬은 3행4열 행렬이다. 3x4 행렬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행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1행, 2행, 3행 순으로 센다. 열은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1열, 2열, 3열 순으로 센다. 위 행에서 2행2열의 수치는 -0.25이다. *주의: 파이썬을 비롯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행렬은 0부터 센다. 즉 위의 행렬은 1,2,3행, 1,2,3,4열의 행렬이 아니라 0,1,2행, 0,1,2,3열의 3행4열 행렬이 되는 것이다. 위의 행렬을 예를 들면, 수학에서는 -0.25가 2행2열의 수치이지만, 파이썬에서는 1행1열의 수치가 된다. 벡터와 행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EeTz/btrHWFTbxKB/jSLZOCI8Jn5w35Ixhue74k/img.png)
수정 화면에서 목록 페이지로 이동하기 글의 수정과 삭제가 완료되면 다시 목록페이지로 이동하는 버튼을 처리한다. 현재 modify.html은 태그를 이용하여 모든 작업을 처리하고 여러 개의 input을 사용해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목록 페이지 이동 이벤트 처리 목록 페이지로 이동하는 경우 page와 같은 파라미터 외에 다른 파라미터들은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목록으로 이동하는 경우 page를 제외한 파라미터들은 제거한 상태로 처리하는 것이 깔끔하다. GuestBook Modify Page!! Gno Title Content [[${dto.content}]] Writer RegDate ModDate Modify List Remove 이벤트 처리 시에는 우선 page와 관련된 부분만 따로 보관하고, 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yXudF/btrHVJBvUwP/JBL5HCYk0FdQ8JkVK0OcbK/img.png)
●수정 처리 시 고려할 사항 수정 시 수정해야 하는 내용('제목', '내용', '글번호')이 전달되어야 한다. 수정 후에는 목록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조회 페이지로 이동해야 한다. 이 때 기존 페이지의 번호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1. 수정 절차 중 페이지 번호를 유지하도록 처리 현재 modify.html에는 '/guestbook/read'로 이동할 때 페이지 번호(page)가 파라미터로 전달된다. 이는 수정 페이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이용해서 수정 완료된 후에도 동일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page값을 태그에 추가하여 전달한다. GuestBook Modify Page!! Gno Title Content [[${dto.content}]] Writer RegDate ModDate Mo..